반응형




 

글 : 박 정 영
Coaching Clinic 워크숍 개발 및 퍼실리테이터
현) 한국코칭센터 전문교수
   

   “코칭이요? 좋긴 좋은 것 같은데 어떻게 시작하지요?”
  코칭클리닉 워크숍을 끝내고 돌아서는 참가자들은 코칭을 알게 되었다는 기쁨과 함께 항상 마음 한구석의 무거운 짐처럼 질문을 안고 돌아선다. 나는 워크숍에서 코칭이 결코 쉽지 않다고 역설을 한다. 어쩌면 수년 동안 해왔던 우리의 대화와 비교한다면 하나의 획기적인 방법이라고까지 말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어렵기도 하고 쑥스럽고 어색한 것이 당연하다. 하지만 코칭 그 자체가 어렵다고 해서 어렵게 시작하거나 시작도 하기 전에 포기하라는 소리는 더더욱 아니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그 어떠한 훌륭한 인물의 실질적인 사례라 할지라도 내가 실행하지 않는 한 그저 머리 속에서 맴도는 이론에 불과할 뿐이다. 코칭클리닉 워크숍 이후 가장 중요한 것은 ‘나의 성공 경험’이다.

   역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쉽게 시작할 수 있다. 그 누구도 완벽하게 시작을 할 수 없다는 확신이 있기 때문이다. 부하 직원에게 예전처럼 설교 내지 일방적인 지시를 하고 있다가 어느 순간 코칭이 생각나면 조금은 부드럽게 “자네 생각은 어떤가?” “내가 얘기 한 것 중에 자네에게 도움이 될만한 것은 무엇인가?”하고 덧붙여보자. 물론 처음에는 이것조차 어렵고 어색할 수 있다. 부하 직원조차도 상사의 돌변에 어안이 벙벙해질 수 있다. 하지만 뭐 그리 큰 일이야 일어나겠는가? 내가 그런 말을 했다고 해서 벌어질 수 있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무엇인가? ... 중요한 것은 내가 코칭 대화를 시작했다는 것이다. 부하직원이 나의 변화를 감지했다는것은 아주 좋은 출발이다. “코칭=변화”라고까지 말할 수 있으니까.

   부하직원이 실패한 결과를 들고 내게 들어온다고 생각해보자. 잠시 나의 에고(ego)를 뒤로 숨겨보자. 나는 상사이기에 나의 에고를 설명할 시간은 나중에라도 충분히 있다. 그리고 그의 감성을 건드려 보자. “지금 자네 심정이 어떤가?” “나도 예전에 똑 같은 심정이었을 때가 있었지…” 이 순간 부하 직원의 마음은 완전히 열리게 된다. 그리고 나서 코칭 대화를 시작해보자. ‘코칭의 순간’을 포착하는 것도, ‘코칭의 순간’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을 잊지 말자.

  “다음에는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 우리 한번 검토해보는 것이 어떨까?”
  “어디서부터 시작하면 좋을까?”
  “일이 끝나고 나니까 무엇이 가장 아쉬운가?”

  이것 역시 뭔가 내 방법이 아니라고 생각되면 아예 팀 멤버에게 솔직하게 말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코칭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을 하고 어렵겠지만 내가 한번 시도해보려고 하니 어설프더라도 여러분들이 도와주면 좋겠다고 진심 어린 부탁을 해보자. 도움을 요청 받으면 은근히 우쭐해지는 것이 인간의 본성임을 우리는 알고 있다.

  나는 코칭대화를 아이들에게 먼저 적용해보았다. 가장 안전(?)지대라고 생각을 했기 때문이고 몇 번 해보니 의외로 효과가 컸다(음, 그랬구나, 정말로, 등등 처음에는 맞장구를 치면서 경청하는 수준에서부터 시작을 하였다). 그래서 용기를 내어 회사 동료에게 내가 코칭을 정기적으로 해보려고 하니 나의 클라이언트가 되어달라고 부탁을 하였다. 물론 이때 훌륭한 인품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부탁을 하는 것이 좋다. 처음부터 너무 어려운 클라이언트를 만나면 주눅이 들 수도 있다. 그리고 입사한 지 한 1년차 정도가 좋은 것 같다. 1년차 정도가 되면 그 때부터 슬슬 여유가 생기면서 동시에 고민을 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한 사람과 일주일에 한 시간씩 정기적으로 코칭세션을 갖게 되면서 주변에 자신을 ‘마루타’로 써달라고 하는 사람들이 한 두 명 늘기 시작하였다. 그들로부터의 피드백이 매우 고무적이었다. 그래서 내친김에 회사에 내부코칭제도를 만들 것을 제안하였고 받아들여져서 6명의 코치들이 내부직원을 대상으로 코칭을 시작하였다. 나는 최대 6명까지 코칭을 하였고 주로 이른 아침 시간을 활용하였기 때문에 근무 시간에는 그리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지금 나는 스스로를 전문 코치라고 소개한다. 그리고 나의 출발 역시 코칭클리닉이었음을 강조하고 싶다.

  작년 11월 ICF(International Coach Federation: 국제코치협회) 컨퍼런스 pre-session중에 서 어떻게 하면 코칭을 산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가에 주제로 한 세션에 참가하였었다. 거기에 연간 10만불 이상의 수입을 얻고 있는 코치들이 8명 정도 나와서 자신의 경험을 얘기하였었는데 그 중 정식 코칭프로그램을 이수한 사람이 한 명도 없었다. 단 한 사람만이 그 당시 코칭 프로그램을 듣고 있는 중이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떠한가? 내 주변에는 코칭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이들에게 이야기하고 싶다. 전세계적으로 가장 훌륭한 코칭프로그램 중에 하나인 코칭클리닉을 이수하였으니 자신감을 가져도 된다고..
   코칭 프로그램을 이수하였고, 다른 사람들을 돕는 일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제 전문코치로서의 가능성을 시험해 보는 걸음을 힘차게 한 발 디뎌보는 것이 어떨까?


반응형
Posted by ideabox7
,